[SPACE] Jan. 2012 (Eng./Kor.) SOFT ARCHITECTURE: Towar d Everyday Architecture 일상으로서의 건축
일상으로서의 건축
SOFTARCHITECTURE: Toward Everyday Architecture
한은주 | Eunju Han
Architecture appears hard, as much for its physicality as for its architectural substantiality. Architecture appears heavy, in as much as it deals with weighty issues such as philosophy and politics. Architecture also appears authoritative. The gigantic structure of architecture, with its overwhelming details, seems didactic, controlling; great architecture tends to be considered as that designed for the rich and powerful. Although architecture seems close to daily life (providing shelter, shaping infrastructure), everyday life can actually appear trivial when considered against the hardness, the heaviness and the authoritativeness of architecture.
Generally, this is how architecture is represented in the media. Photos of architecture under an unrealistic blue sky without any passers-by distort the real architecture of our everyday life. With these photos, architects present how they consider our everyday life should be; the photos work together to form a kind of visual philosophy or manifesto. However, such photos are, of course, unrealistic. Most written works relating to architecture portrayed in the media tend to be filled with the rhetoric of showing off rather than narrating a real, frank story of the everyday. Architects often talk about what they could not do because of budget limitations, outlining the possibilities of ever-grander designs. Because of this, most completed architecture in the media does not seem to be close to our everyday life. This unrealistic panorama and showing-off rhetoric have created a gap between architecture and everyday life. Could we bridge the gap?
We can obtain a glimpse of the answer to this question through observing the different roles held by architects and the users of architectural space. Architects are the active subjects who lead the designing of a space while users are regarded as passive objects who should accept architecturally-designed space.
Jonathan Hill, however, indicates how users actively re-produce architectural space by occupying it. This mean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s and users could be reversed (Jonathan Hill, 1991).▼1 It is similar to the aesthetics of reception ▼2 in terms of the role transition between architects and users. In this re-creation of a space through its occupation, everyday life plays a significant role. When designing a space program, therefore, considerations of everyday life should form key parameters. This raises the question: what is everyday life?
Everyday life in contemporary society
People who live in the contemporary era tend to live by the repetitive rhythm of everyday life. This ordinary life of the everyday has provided an important subject in diverse fields. For example, Sigmund Freud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psychopathology through observing various mistakes (reading mistakes, writing mistakes, speaking mistakes and so on) that can be made in everyday life (Sigmund Freud, 1901).▼3 Freud argues that these trivial mistakes are highly connected with our unconsciousness. Unlike Freud’s work, which focuses on individuals’ everyday life, Henri Lefebvre highlights the collective contradiction of modern people, living under a familiar and repetitive daily rhythm: we sometimes feel bored yet, at the same time, live in fear of deviating too much from the everyday (Henri Lefebvre, 1967).▼4 Lefebvre’s discourse also focuses on the production mechanism of space as a product resulting from social activities (Henri Lefebvre, 1991).▼5 He describes how the social relationships of everyday life generate different dimensions of space, namely representational space and spaces of representation. This notion of space relating to daily life has greatly affected various fields, ranging from art and architecture to urban planning and spatial politics. A fundamental role of architectural criticism, then, should surely be probing how contemporary architecture relates to everyday life.
Poor reflection of everyday life in architecture
Unlike the metaphysical fields, which only began in earnest to adopt everyday life as a subject matter in the 20th century, architecture has been closely connected to our everyday life from primitive times. In these times, being an ‘architect’ was obviously not a kind of occupation, it was more of a practical ‘everyday’ skill. This meant that daily activity was thoroughly reflected in primitive architecture because there was no gap between architectural design and occupation: users built up their living space for themselves. From this we can identify the prototype of what we mean by the architectural term space program.
As primitive society developed, power structures and social hierarchies appeared. Architecture became an essential means of demonstrating power and propagating politics. The power derived from religion or politics was a significant part of daily life. Architecture thus became closely connected with power, forming an often symbiotic relationship. Spatial structure of this kind of architecture (space program: floor plans, circulation, and so on) was designed to make experience
symbolic messages of power; architecture therefore began to grow away from ordinary life. Ever since, architecture based on power has composed the canonical mainstream throughout history.
Who wields power, and hence who wields architectural and spatial power, has obviously changed over time. Contemporary architecture is closely linked to the power of capital, while during medieval times, religious power and royal power were central, providing the impetus for architecture such as cathedrals and palaces (Spiro Kostof, 1995).▼6 They were designed for a space program which aimed to propagate the symbols of power and absolute authority. In contrast to this, contemporary architecture is likely to be utilized as a medium to add monetary value and display economic success; in much of society today, the everyday, or perhaps what architects see as the everyday, exists only through the prism of capitalism. Even when architecture seems as though it has been designed with a deep consideration of everyday life in mind, it is, in actual fact, the architecture of capitalism rather than that of the everyday.
Many critics find this problematic. Guy Debord criticizes how everyday life is dominated by capitalism in ‘The Society of the Spectacle’ (Guy Debord, 1959).▼7 Here, Debord argues that the fragments of our daily life can be commercially exaggerated and accumulated as a kind of spectacle. However, the more spectacles that are stacked, the more we feel isolated from the spectacle.
This isolating effect can be seen in much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which the exaggerated fragments of everyday life are adapted into a space program. Implicitly, architectural space is likely to be spectacle space. Sometimes, the spectacle can be increased by the design technique of the scenario under the pretext of a new spatial experience. Many architects who design spectacle space believe that more capital visualizations (such as more luxurious decorations) should be added to their architectural work to maximize the spectacle and thus increase the likelihood of architectural fame. At this point, only physical and artificial spectacle remains; any pretence of architecture reflecting everyday life has vanished. This brings with it serious problems. Because spectacle architecture does not reflect our everyday life, the spectacle itself can be overwhelming and alienate the viewer. This is because spectacle architecture is too hard, too heavy, too authoritarian even, to embrace the consistency and the diversity of our everyday life. This can lead to architectural totalitarianism.
How, then, can architecture thoroughly reflect the everyday? The attributes of architectural work imply totalitarianism. Implicit in architecture is the design goal that people can be controlled using architectural space, albeit benignly controlled. The everyday, which embraces the random, the unexpected, the unprogrammed, does not sit comfortably with this.
Everyday ‘soft’ architecture
Architectural space should be built around its users’ needs and evolve with occupation rather than only being a design solution created by architects. Thus, architecture should be considered as an organism interacting with our everyday life, beyond architects’ control (and beyond their self-aggrandisement). To achieve this point, architecture should pursue open-endedness and flexibility to produce ‘soft settings’ which thoroughly embrace everyday life. If our daily life is not determined nor able to be explained by only a few factors, then surely our architecture should reflect this.
Soft architecture as an open-ended setting means that contemporary architecture should go beyond the architectural totalitarianism derived from spectacle architecture and instead embrace the everyday. To do this, we should have a more innovative design strategy, including a more specific everyday-life-mirroring space program. Also, we should consider not a hard, heavy and authoritative setting, which tries to limit and control our urban life, but an ambience of creative settings that would be able to trace even small changes of everyday life. ‘Soft architecture’, then, is the architectural objective of innovation and creativity and a key forwardlooking element of spatial re-humanisation via the re-embracing of the everyday.
---------------------------------------------------------------------------------------------------------------------------------
1. Hill, Jonathan (eds) (1998) Occupying Architecture: between the Architecture and User, London: Rutledge
2. A theory putting emphasis on readers’ reception in art works
3. Freud, Sigmund (1901) Zur Psychopathologie des Alltagslebens. in: Brill, A. A. (1995), Psychopathology of everyday life. Classics of
Psychiatry and Behavioral Sciences Library
4. Lefebvre, Henri (1968) Critique de la vie quotidienne, Paris, L’ Arche Editeure, in: Moor, John. (2002) Critique of Everyday Life volume II:
foundation for sociology of everyday life, London: Verso
5. Lefebvre, Henri (1974) La production de l’espace. in: Nicholson-Smith, Donald (1991), The Production of Space. Oxford: Blackwell
6. Kostof, Spiro (1995) A History of Architecture: Settings and Ritual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7. Debord, Guy (1967) La Societe du Spectacle, in: Knabb, Ken (2006) Society and the spectacle, London:AK Press
---------------------------------------------------------------------------------------------------------------------------------
Eunju Han is an architect and an innovation designer being interested in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the built environment revealed by trans-disciplinary approaches. She is recently investigating locative interaction in urban space through telecommunicative intervention in Royal College of Art in London and conducting a number of relevant architecture and design projects. She is currently in charge of the editor in chief in Space Magazine.
건축은 철학이나 미학과 같은 인문사회적 거대 담론 속에 오랫동안 공존해왔다. 한편으로 건축 그 자체가 가지는 물질성(physicality)만큼이나 딱딱하고 무겁게도 다가온다. 웅장한 외관과 거대한 규모를 자랑하는 기념비적 건축물은 그 누구도 감히 쉽게 논하지 못할 정도의 권위적이고 교시적인 경외감마저 자아낸다.
우리가 일상을 영위하는 주된 시간과 장소도 건축물이지만 어찌된 일인지 건축 작업은 권력가와 자본가들만이 향유하는 소장품 가운데 하나처럼 정의되며 일상생활과 유리된 채 다소 먼 곳에 놓인 이질적 창작 활동으로만 간주되는 경향이 크다. 미디어 상에서 그려지는 건축이 한껏 맵시를 뽐내며 폼을 잡고 있기에 더욱 그러할는지 모른다. 공간을 활용하는 주체이자 주인인 사람 그림자 하나 보이지 않는 사진 속 건축물은 우리 일상을 담아내는 그릇으로서 인간 중심적 일상 시설물이라기보다는 작품이라는 미명 아래 축조된 자본 중심적 환경 조형물처럼 우두커니 서 있다.
창조적 작업가인 건축가들은 자신의 창작물 속에 인간의 일상이 어떻게 전개될 수 있으며, 어떤 철학적 심미안이 녹아 있는지를 미술관에 전시된 유화 옆 작품 해설처럼 설명하곤 한다. 그러나 대부분, 이러한 표지석은 건축가 자신의 담백하고 진솔한 작품 후기라기보다 제3자가 이렇게 평가해주었으면 하는 관례적인 희망적 찬사로 메워져 있는지도 모른다. 또한 건축가는 투입 자본의 한계에 따른 건축 작업의 아쉬움을 자주 토로하곤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완성된 대다수의 대규모 건축물들은 우리 일상을 들여다 놓기에 지나치게 장엄하다. 관념적 수사나 현실적 미학과 때때로 건축과 우리의 평범한 일상 사이에 편치 않은 공극을 만든다. 이 틈을 메우거나 적어도 이을 수는 없을까?
건축가와 사용자 사이에서 필연적으로 존재하는 공간 생산 방식 차이에서 그 해답을 찾아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 일반적으로, 건축과 우리의 일상간 차이는 사용자의 점유 과정에서 수정되고 한편으로 보완된다. 조나단 힐(Jonathan Hill)은 ‘Occupying Architecture: Between the architects and the users’를 통해 사용자에 의한 공간의 점유(occupying)가 사용자 자신에게 적합한 공간으로 건축을 어떻게 재창조하고 있는지를 제시했다 (Jonathan Hill, 1991).▼1 다시 말해 사용자의,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를 위한 건축의 재해석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조나단 힐은 건축가가 구체화한 공간을 사용자가 피동적으로 수용하는 전통적인 상호관계가 반전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수용 미학▼2에서 보이는 예술가와 관람자간 역할 전이와 같은 맥락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는, 건축물이 그 사용자의 일상을 기초로 공간의 주체적 사용자가 재생산하는 건축가와 사용자에 관한 경계에 주목했다. 만일 그러하다면, 현대사회 속 ‘일상성’이란 무엇인가?
현대와 일상성
비록 개인 차가 있다 하더라도 현대인은 ‘다람쥐 쳇바퀴 돌 듯’ 매우 익숙하고 반복된 일상 속에서 저마다 삶을 영위하고 있다. 평범하고 사소한 일상은 20세기로 들어오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사유의 소재와 주제가 되었다. 예를 들어 지그문트 프로이드(Sigmund Freud)는 일상생활에서 표출되는 인간의 행동과 태도를 통해 정신병리학의 기초를 정립하기도 했다(Sigmund Freud, 1901). 그는 일상생활에서 관찰되는 사소한 실수―잘못 읽기, 잘못 쓰기, 잘못 놓기, 잘못 말하기 등과 같은―조차도 의미 없는 단순한 실수가 아니라 내재된 무의식에 의해 발현되는 현상이라고 주장했다.▼3 일상에 관한 그의 고찰이 개개인의 일상 그 자체에 집중된 데 반해, 앙리 르페브르(Henri Lefebvre)는 일상에서 벗어나는 것을 꿈꾸는 동시에 반복되는 일상이 깨어질까 지극히 두려워하는 현대인의 모순적 태도,▼4 즉 모순적인 현대인의 일상성을 고찰함으로써 현대성을 언급한다(Henri Lefebvre, 1968). 르페브르는 더 나아가 우리의 일상적 실천들이 만들어내는 공간을 통해 현대성의 담론을 형성한다. 공간의 생산(Henri Lefebvre, 1974)이 그것이다. 우리가 일상에서 사회적 관계를 통해 공간을 창출한다고 보고 일상에서의 공간을 경험, 인지, 상상으로 분류해 공간적 실천, 공간의 재현, 재현된 공간에 이르는 사회적 공간 생산 구조를 설명하고 있다.▼5 이러한 공간의 생산에 관한 구조적 의견은 현대사회에서 예술가나 건축가, 도시계획가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현대건축에서 일상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가?
일상에 관한 빈곤한 성찰
평범한 일상이 형이상학적 분야의 주제와 소재로 주목된 것이 20세기 들어서였던 것과는 달리, 건축은 이미 태생적으로 일상과 함께 있었다. 건축가라는 것이 직업으로 존재하지 않던 시절, 우리 일상의 행위(activity)들은 고스란히 건축 공간에 녹아 있었다. 원시 건축에서 보면, 우리 생활과 밀접한 가장 근본적인 공간 프로그램의 원형(prototype)을 읽을 수 있다.
점차 인간 사회의 규모와 내용이 발전하면서 정치와 권력이 발전하게 되고, 건축은 힘의 선전을 위해 권력을 시각화하는 수단으로 전개된다. 그 힘이 종교와 같은 내세적인 것에 비롯된 것이든, 현실 정치에 기반을 둔 속세적인 것이든 간에 인간 생활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발전해온 것은 사실이다. 힘과 관련된 건축은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과는 좀 거리가 있다. 건축의 목적이 달라지므로 디자인을 할 때 감안해야 하는 공간 프로그램도 달라진다. 힘을 가진 자가 전하고 싶은 메시지도 충분히 담아야 한다. 힘에 의해 지목된 재능을 가진 자가 건축가가 된다. 건축의 역사는 이러한 힘과 관련된 건축물들이 주로 주인공이 된다. 다만 시대 변화에 따라 힘의 속성이 조금씩 달라져 왔을 뿐이다.
중세시대에는 성당건축(종교)과 궁전건축(왕권)이 건축 역사의 주류▼6를 이루었다면(Spiro Kostof, 1995), 현대에는 자본의 논리에 의한 건축들―저택이나 박물관 같은 자본가의 취향과 관련된 건축부터 대형도시개발 프로젝트에 이르기까지―이 세간의 주목을 끌며 회자되고 있다. 성당건축이나 궁전건축은 제사장이나 왕실 구성원의 일상을 주된 공간 프로그램으로 사용하기보다 권력과 권위를 표상화하고 추상화하기 위한 은유와 신화를 기반으로 한다. 이에 반해 현대의 건축 프로젝트들은 현대인의 일상에 대한 면밀한 조사와 탐구에서 시작되는 듯 보이나 투입된 자본보다 더 큰 자본을 회수하기 위한 수익 지향적 판단이 필연적으로 개입되고 건축은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한 매개 행위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이는 기 드보(Guy Debord)가 현대사회를 ‘스펙타클의 사회’▼7라고 지칭하며 일상에 대한 자본의 지배를 비판한 관점과 궤를 같이하고 있다. 기 드보는 자본주의 아래 우리 일상의 단편들은 상품화되고 이들이 소위 스펙터클이 되면서 축적되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우리 일상에서 출발한 스펙터클은 상품화를 통해 변모되어간다. 이는 일상 속에서 의미 있는 사건이나 순간조차도 어느새 자본에 의해 장식되며 상품화되어가고 겉보기에 훨씬 훌륭한 잔치나 이벤트가 되지만 실제로 인간은 그 이벤트의 주체가 되기보다 소외된다는 의미다.
이러한 스펙터클 현상은 일상을 다루는 현대건축에도 적용될 수 있다. 현대건축도 일상의 단편을 과장해 건축 작업의 공간 프로그램에 적용하기도 한다. 암묵적으로 건축 공간은 스펙터클을 위한 공간이 된다. 때때로 시나리오라는 디자인적 접근 방법에 의해 하나의 이야기로 엮인 스펙터클은 차원이 다른 공간적 경험을 제공하며 극대화될 수 있다. 이른바 ‘작품’이라는 이름으로 거론되거나 거론되기를 희망하는 상당수 건축 프로젝트들도 그리 다르지 않다. 대다수의 건축가들은 자신이 설계한 공간이 스펙터클이 될 것이라고 믿고 있고 또 실지로 이를 극대화하기 위한 공간 디자인을 염두에 둔다. 자신이 디자인한 공간이 좀 더 값비싼 전시물이나 진귀한 장식품 같은 시각화된 자본으로 호사스럽게 채워져 스펙터클이 극대화되길 바랄 것이다. 많은 건축가가 보다 스펙터클한 건축으로 명성을 얻길 바라며, 그 명성을 바탕으로 한층 더 기념비적 건축물의 디자인을 의뢰받는 선순환적 가치가 창출될 수 있기를 바랄 것이다. 이제 인간의 일상은 뒷전이고, 물리적인 스펙터클만이 건축적 실체로 남게 된다. 그러나 이런 스펙터클의 건축에서 개인의 일상이란 왜곡되고 압도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소외감을 느낄 수 있다. 스펙터클의 건축은 현대 일상의 다양성을 담기에는 너무나 단단하고 어려운 장치이기 때문이다. 건축 작업에서 일상에 대한 빈곤한 성찰은 이렇게 건축적 전체주의를 낳을 수도 있다.
일상으로부터의 건축: Soft Architecture
일상에 관한 풍부한(최소한 빈곤하지 않은) 성찰을 바탕으로 한 건축이란 어떤 것일까? 사실 건축가의 작업은 암묵적으로나마 상당히 전체주의적 경향을 띨 수 있다. 보다 많은 사람에게 안락한 공간을 제공하고자 하는 건축 디자인의 목표는 가끔 보다 많은 사람들을 자신의 디자인으로 제어하고자 하는 전체주의적 입장으로 변질되기도 한다.
건축 공간은 건축가가 의도한 대로 사용되기보다는 사용자가 재창조하는 변이 과정을 거친다. 그러므로 건축은 건축가가 완성하는 자기만족적 가치로 해석되기보다 사용자의 일상과 함께 융화되는 상호유기적 객체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 스펙터클하고 어려운 건축보다는 열려 있고 좀 더 유연한 건축을 지향해야 한다. 이것은 우리의 일상이 고정되어 있거나 한두 가지 규범으로만 규정될 수 없기 때문이다.
‘부드러운 건축(soft architecture)’이란 스펙터클의 무분별하고 지속적인 생산과 확대로 인해 귀결될지도 모르는 건축 전체주의(architectural totalitarianism)에 경종을 울림과 동시에 일상생활 속 작고 소소한 변화까지도 담아낼 수 있는 창작 태도와 건축 활동으로의 회귀를 의미한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건축의 가시적으로 드러나는 물리적 부분(매스의 구체적인 윤곽, 외부 마감 질감 등)의 본격적인 디자인 과정 이전에 일상을 담을 수 있는 시스템적 부분(공간 프로그램) 디자인에 더 많은 비중을 두어야 할 것이다.
공간 프로그램에 대한 보다 창의적인 사용자-중심적 발상과 이 공간 프로그램이 담길 수 있는 보다 혁신적인 사용자 친화적 장치가 필요하다. 이는 건축이 공간 프로그램의 변화를 일방적으로 제어하고 관리하는 일상-괴리적이고 경직된 스펙터클(spectacle)의 장치로서가 아니라 우리 일상의 사소함까지도 감지하고 담아낼 수 있는 일상-수렴적이고 유연한 엠비언스(ambience)의 장치로서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의미한다. ‘열려 있고 부드러운 건축’이 제시하는 화두는 바로 건축의 일상성 회복과 사용자 친화적 건축으로의 회귀가 그 중심에 있다.
---------------------------------------------------------------------------------------------------------------------------------
1. Hill, Jonathan (eds) (1998) Occupying Architecture: between the Architecture and
User, London: Rutledge
2. 작품의 이해와 평가가 수용자 관점에서 이루어진다고 보는 미학 이론/a theory putting emphasis
on readers’ reception in art works
3. Freud, Sigmund (1901) Zur Psychopathologie des Alltagslebens. in: Brill, A. A. (1995),
Psychopathology of everyday life. Classics of Psychiatry and Behavioral Sciences Library
4. Lefebvre, Henri (1968) Critique de la vie quotidienne, Paris, L’ Arche Editeure, in: Moor,
John. (2002) Critique of Everyday Life volume II: foundation for sociology of everyday
life, London: Verso
5. Lefebvre, Henri (1974) La production de l’espace. in: Nicholson-Smith, Donald
(1991), The Production of Space. Oxford: Blackwell
6. Kostof, Spiro (1995) A History of Architecture: Settings and Ritual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7. Debord, Guy (1967) La Societe du Spectacle, in: Knabb, Ken (2006) Society and the
spectacle, London:AK Press
---------------------------------------------------------------------------------------------------------------------------------
한은주는 공간건축에서 실무를 쌓고 영국 왕립예술학교에서 도시공간에서의 위치 기반 인터렉션에 관한 연구로 박사 과정에 있으며, 현재 월간 SPACE의 편집장을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