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SPACE] Jan. 2013 Interview with Henri Ciriani: the conditions of Architects

앙리 시리아니: 건축가의 조건

Henri Ciriani: the conditions of Architects

페루 출신의 건축가 앙리 시리아니는 르 코르뷔지에를 잇는 근대주의 건축의 계승자로서 프랑스 사회주거의 기틀

을 마련했다. 그는 파리 신도시 계획안에서 공공 주거단지 작업을 통해 건축의 공공성과 사회성을 강조했다.

「SPACE」는 지난 12월 14일 전시와 강연을 위해 내한한 그를 만나 전시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더불어 한국의 공동주거 건축에 대한 그의 생각을 물었다. 또한 교육자로서 수십 년간 학생을 가르쳐온 그에게 건축교육에 대한 제언을 부탁하며, 우리 사회가 요구하는 건축가의 조건을 되돌아보았다.

인터뷰 한은주 | 정리 심미선 | 자료제공 앙리 시리아니 아키텍티

Born in Peru, the architect Henri Ciriani is a successor to a modernist architecture that overtakes Le Corbusier,

conceiving of a governing principle frame for social housing in France. He emphasized the public-facing and

socially progressive art of architecture as designing projects in a new town plan in Paris.

SPACE conducted an interview with him when he was in Seoul for an exhibition and a lecture on the 14 December. We spoke about his exhibition and asked his opinions of public housing in Korea. We also proposed that he offer suggestions for the future improvement of Korean architectural education, as himself an architectural lecturer and supervisor. It was a chance to rethink people’s requirements of architects.

Interviewed by Han, Eunju | Edited by Shim, Jane Misun | Materials provided by Henri Ciriani Architecte

I heard that you have been Seoul three times. Have you seen much of the city of Seoul? Then have you observed many of the apartment buildings which are the universal type of housing in Korea?

Not sufficiently. So far only from this vantage point [in his hotel room], and on the way from the airport. From magazines and internet, I do know lots of the new buildings around Seoul. I haven’t seen them, but know their likeness well.

Housing in Seoul, they are better, in the glazing they are bigger. They look more spacious. It looks better and more modern than the buildings of my first visit. They were all terrible. The only thing that gave a sense of identity to each building were the numbers written on the buildings.

Housing has been always treated as ‘problem solving’. While it may be so, it cannot be a problem in architecture. When people have the desire and the requirement for better, you don’t want ‘an’ apartment, you want ‘the’ apartment. If people are satisfied with what they are given, what can architects do? Nothing.

In the 60s and 70s in France, we had our architectural revolution, which was made only with social housing. That was a big revolution, and produced the best architecture in housing in France.

What did you do around that time?

Marne-la-Vallée. There were two projects, Les Hautes Formes by Christian Portzamparc in Paris, and Marne-la-Vallée in the new towns, which were the two icons of new architecture in France. That changed everything. When a private owner of the land builds a building, he just follows the rules. You need the permission of the townhall, and a private owner has to respect that.

Many those Korean architects who have gone to the States to study think that the private owner has a right to build a city that he wants. They come with that idea.

As the country has been rapidly developing, we didn’t have enough time to care about city. Now we want a better urban environment. We need others’ viewpoint for that to become a possibility.

There are two ways of doing this. The French way; you need to do things which need at least 400m. The Italian way; you need to do a wonderful palaces. Choose one, as there’s no intermediate. Either that or you have to develop – the former, or like the Italians and do beautiful buildings. Beautiful buildings don’t need city. They make the city. I believe in architecture. I think architecture is better for the city than anything. If not, why do people go on travelling to cities that are not inherently beautiful, but have wonderful places?

People in Korea usually think that the country lacks good sites or excellent architecture. As we try to enhance our built environment, we try to gain critiques from other viewpoints.

We make our environment better, and sufficient given any idea. I think this is a terrible period for architects in the world, because architects no longer have any authority. Which means that nobody asks for their opinion.

You ask my opinion because you have an architectural magazine, but if you had any power, if you were from the city hall, you would never ask me anything.

There are two things; the little absolute that we have lost and the people in power who have declared the best

architects as the most artistic. Which is OK for creatures or little things. The other side is sustainable design, that’s the last. Nobody is going to tell me how to put light into my building, the materials I have to build. The terrible thing is that it’s no longer a problem of architecture. The real problem is that architects no longer know what their responsibility is, because they think, ‘let’s put some solar panels. Let’s get the rainwater in.’ I think people in power don’t even do it in purpose. It’s just like that. Architects are disappearing.

How could you expect to be respected, how could you spend money making the building racked? Nothing new in space, nothing new in programmes. Nothing good for living in the city. Everything for the looks and the look itself is twisted. We are not talking about the special ones, those who know what to do, where it comes, like Frank Gehry. The problem is people who copy him. What he does is perfect, he’s an artist. If he does thirty more buildings like that, it doesn’t worry me. The problem is all the lousy architects trying to do the same, and they will only make a mess.

When you don’t have any respect from your own society, the only thing left is your ego. I’ll never be for the other side, I’m always on the architectural side, even for the lousy practitioners, because the lousy ones try to be nice to people.

We have read the article, ‘Architecture Endangered’ from Le Monde. The Museum of Ancient Arles, designed by you, has been refurbished without asking for your opinion or approval. From this case, what did you feel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or architects and society?

The museum was destroyed at one angle of the triangle of the building during the extension. I had to fly to France from South America to show my lawyers that the extension without destroying the building is possible. The only place that architects are still considered is in the cultural items, at least in France I think.

It is not ordinary situation in France. L’ordre des architectes, all of them, have presented themselves with me. But we won’t win. It has to do with the problem of today. It was not like politicians were better before, as in previous years, they didn’t know that architects could do it. Now everybody tries to put pressure on my lawyers, because if we win, almost all of the cultural projects will be protected. It’s a national issue. My decision to fight for recognition of architecture. The problem of the modern situation is that clients don’t know the difference between good and bad architects. They are very different architects, but there’s only one client who speaks about time and money; ‘Howmuch it will cost and when it will be ready?’, and nothing else.

You raised students about thirty years at university in France. Now you are teaching architecture in Peru, how is architectural education in Peru?

It’s also something I’m doing in South America, but I won’t do it in Europe. In Europe, it’s useless. Europe is already done. In Peru, absolutely terrible. There are forty schools of architecture, and there are not forty teachers. I’m teaching masters courses teaching future teachers. It’s interesting because I have to deal with the essentials again. Architects don’t know the essentials and schools don’t teach these anymore.

What are the essentials of architecture that should be stressed in architectural education?

Essentials are what architecture is about. There are four ways of producing architecture. One that everybody uses is horizontal aggregation. That’s what everybody does, from your mother or your uncle who is not an architect, to architects. Lots of copies are made following Richard Neutra’s decision. The most important place in the house is the living room and terrace; the living room with glass wall and exterior space. If you find an architect that does houses and doesn’t build like that, take a photo. This is the most influential way of doing architecture in Occidental world, but nobody knows it all started from Neutra. Everybody does horizontal aggregation as an architectural device, and because of this device, the programme, if you can put it on the ground you have, then you have one-storey house. If you don’t, then you have to do two-storey house. It means that the ground decides for the architecture more than architects.

Talking about four methods of architecture, the whole world is either that system or the other, which is not one of the four, because the four are legitimate. There is an illicit way, which is to make a box, and put everything inside. What you do is essentially a box. We are in a world in which almost nobody does architecture anymore.

Architectural education was recently extended to five years from four years in Korea is rather problematic. You once mentioned the period of architectural education should be shorter than ever before.

You need time in order to get the formal body in architectural terms, which is somebody who comes from a school and is used as an educational tool or a civilised person. Whatever culture it could be, he just has to be one year older and in contact with culture. Whatever, like touring the world, practice in basic design, or learn history. This person with one year of cultural exposure will be a civilised student for the second year within with you can have creative drive. For the second year, you teach him to do the project of only systems, which exist particular to general, and the other from general to particular. You show him that that’s the way of thinking architecture. In the third year, depending on schools. you teach him what’s model space, or whatever necessary. And 4th or 5th I don’t care.

Architectural education in Korea tends to focus on technical skills.

That’s absolutely ridiculous. That’s terrible, and that’s why architecture is disappearing. For example, the Seattle library by OMA, when Rem Koolhaas did the project, it was a wonderful one. With his well respected model, he did the tour de monde, and showed it to everybody. Then engineers took it and draped it with fish-net like structures, and it’s now a horrible project. A pitiful and terrible project. All these star architects depend completely on Arup. It’s ok if Arup knows how to do it. If he doesn’t know, he puts a prostitutes’ stocking on your building. There’s nothing more terrible than to have diagonals. That’s what’s happening to all these star architects. Zaha Hadid, when you see her cut section, it’s full of diagonals all over. When you cut Gehry building, they are all tubes. They are building buildings which are 70% utilised, 70% nothing, not even rats go in. Just structures. I think engineers must be forbidden.

Architecture has little to do with construction. Construction is to satisfy needs. We have to do another thing. Satisfying needs is absolutely the easiest part of our occupation. The problem is what to do, and in what way. We spend hours in those things, and nobody cares and nobody pays us for that. They are very happy when it is finished. Engineers do what they are told to do, as it is science. However when you have art on one side and science on the other, science takes the whole. So we must build architectural conscience in architectural schools, not already being slave of engineers. We have to build architecturally proud people. We have to build people who will spend their lives in order to create better environment for people, in order to give emotion to materials, in order to make people dream, in order to make people want to be better. Architecture was not invented in order to earn somebody money.

Let’s take a Greek temple as an example. Nobody has better than a temple as a representation of the most noble way, because a temple has everything. These things have to be taught, not in order to make

a copy of postmodern Greek temple, but in order to show that what Mies van der Rohe spent all his life doing wastrying to do modern Greek temple.

Young architects use computers rather than hand drawings.

That has to do with education as well. The relation between the eyes, brain and hands has been broken. Hands are no longer where the eyes go. This is called dyslexic in many civilisations. Nothing good comes from this as young architects don’t know how to draw before inputting on the machine. The other problem is that the machine needs to know what to draw. Heading a project means having the things open as far as possible in order to be fit all the benefits of your research. That is to say, you draw only two sides of a square. You know it’s going to be a square, but you don’t want to close it because you want to know how to work these two sides. You cannot do it in a machine, the machine asks you to make a square, which means that we will never see open possibility. Intelligence always looks for the easy side, and the intelligence of using the machine is using libraries. It means that you don’t even know what you are putting in. When you are drawing yourself, a bed in a certain dimension, you know that it’s a bed.

Let’s talk about the exhibition▼1. It shows lots of hand drawn sketches. What do you want to let architects know by showing them?

How do you construct a high-rise which is meant for people? Now the only dimension which is fostered by skyscrapers is height, which is no longer a dream. We’ve seen the skyscrapers from the plane, the planes destroyed the magic, skyscrapers don’t have magic anymore. Only stupid Arabs can make 800m-high buildings to see the sun, just to see desert. Sketches are showing spaces.

We can see a few vivid colours in your sketches. Is colour important in your sketches?

You can build pictures in the space. You don’t have to just imagine from the framed pictures. Fernand Leger has drawn cities painted, and we can build them. Today colour can be put as a way of building; you can use the materials you want. You no longer have to have windows as holes in the wall. You can create your own windows. All these buildings are sophisticated, you use colour in order to get unity. That is essential in architecture. It is something that is lost. The purpose of architecture is unity.

Han: 이번이 세 번째 한국 방문이라고 들었다. 그동안 서울을 둘러볼 기회가 많았을 텐데, 선생의 주요 관심사와 닿아 있는 한국의 아파트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는가?

Ciriani: 이번에는 서울에 도착한 후에 주변을 온전히 둘러보지는 못했다. 오직(호텔방에서 보이는) 이 풍경과 공항에서 본 것이 전부다. 그러나 잡지나 인터넷을 통해 최근 서울에 지어진 새로운 건물들을 많이 접할 수 있었다. 서울의 아파트는 과거에 비해 규모가 커지면서 공간이 더 넓어진 것 같다. 유리 커튼월 사용이 부쩍 늘어나는 등 이전에 방문했을 때보다 더 현대적으로 발전했다. 하지만 끔찍하다. 그 건물들에 정체성을 부여하는 것은 오로지 외벽에 쓰인 숫자들뿐이다. 그렇다고 아파트 건축을 일방적으로 비판할 순 없다. 그것은 한국 사회가 요구했던 여러 문제에 대한 해 결점으로 이루어진 건축이다. 사람들은 앞으로 이 아파트라는 공간에 좀 더 다양한 요구를 해올 것이다. 이 요구들을 찾아내 해결하는 것이야말로 지금 한국 건축가가 해야 될 일이다. 1960~70년대 프랑스에서는 건축적 혁명이 일어났다. 사회주거(social housing)밖에 만들 수 없는 상황에 부딪혔던 것이다. 그것은 프랑스 주거사에서 매우 큰 혁명이었다.

그와 같은 건축의 혁명기 속에서 선생은 어떤 일을 했었는가?

마르느-라-발레에 공동주거를 설계했다. 당시 파리에 지어진 크리스티앙 포잠박의 레 오뜨 폼과 함께 신도시에 계획된 마르느-라-발레 공동주거는 프랑스의 새로운 주거형식을 대표하는 두 가지 아이콘이다. 이들이 이후의 모든 것을 바꾸었다. 그때는 개인 소유자가 자신의 토지 위에 건물을 지으려면 몇 가지 법적 규율만 준수하면 되었다. 하지만 지금은 좀 더 복잡해져 시청의 허가를 얻어야 하고, 개인은 그들의 지시에 따라야하는 상황이 더 많다. 이에 비해 미국 유학을 선택하는 한국 건축가들은 그곳에서 좀 더 자유로운 형태와 공간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은 짧은 시간에 급속한 경제 발전을 이루었지만 반대로 우리 주변의 도시 환경을 돌볼 겨를이 없었다. 하지만 이제 우리는 보다 나은 도시 환경을 원하고 있다. 이를 위해 특히 외부의 시각과 의견도 필요한 시점이다.

도시환경 개선을 위해 한국이 선택할 수 있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프랑스 식으로, 거시적 관점에서 최소 400m 반경 규모로 도시환경을 정비해 나가는 차원이다. 다른 하나는 주로 이탈리아가 사용했던 방법으로 작더라도 아름다운 건물을 지어 나가는 것이다. 둘 중 하나다. 중간은 없다. 개발을 원한다면 첫 번째 방법을, 아니라면 두 번째 방법을 선택해야 맞다. 아름다운 건물은 도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자체가 모여 도시를 이룬다. 나는 건축을 믿는다. 건축은 그 어떤 것보다 도시를 아름답고 풍요롭게 만드는 요소이다.

한국인들은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 아름다운 장소나 건축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 같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조언을 부탁한다.

건축가는 주변환경의 개선을 위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공해야 한다. 나는 지금 전 세계 건축계가 위기에 즉면했다고 생각하는데, 왜냐하면 건축가들이 더 이상 어떤 권한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누구도 건축가에게 의견을 묻지 않는다. 당신은 건축 매체에 몸담고 있기에 내게 의견을 구하는 것이다. 만약 당신이 권력을 가졌거나 시청의 직원이라면 내게 아무것도 묻지 않았을 것이다.

여기에는 두 가지 포인트가 있다. 첫째로, 권력자들이 최고의 건축가는 예술가라 선언한 것이다. 이는 창작물이나 소소한 부분에 있어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 다른 면은, 지속 가능한 디자인에 관한 것이다. 누구도 내게 자연광을 건물 내부로 유입시키는 방법이나 재료에 대해 말하지도, 묻지도 않는다. 끔찍한 사실은 이런 문제들이 더 이상 건축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건축가들이 그들의 책임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문제다. 그들은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고, 우수 시스템을 적용하자’라고 생각할 것이다. 나는 이런 것은 권력자들이 의도적으로라도 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런 것이다. 진정한 건축가들이 사라지고 있다.

존재 가치가 없는 건물을 만드는 데 비용을 쓰면서 건축가들은 존경 받기를 기대하는가? 새로울 것 없는 공간에 프로그램의 차별성도 없고 도시속의 삶을 위해 좋을 것 없는 그런 건물을 생산하면서. 게다가 모든 것은 외관으로 결정되고 모양은 뒤틀려 있어야 한다. 특정한 예를 두고 얘기하는 것이 아니라 프랭크 게리와 같은 작업을 하고 싶어 하는 이들에게 말하는 것이다. 게리가 잘못하고 있다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그를 따라 하려는 것이 문제다. 그의 작업은 완벽하며 그는 예술가다. 그가 30개 넘는 건물을 하고 있다 해도 나는 걱정하지 않는다. 문제는 형편없는 건축가들이 그를 따라 하고 있는 것이며, 그들은 쓸모 없는 것들을 생산한다.

만일 건축가가 자신이 속한 사회에서 아무런 존중을 받고 있지 못하다면, 그것은 그들의 자아 때문이다. 나는 건축가들 중에서도 예술가가 아니라 일반적인 건축가 편에 서 있다. 비록 형편없는 건축가이더라도. 왜냐하면 그들 중에 일부는 사람을 위한 건축을 하기 위해 노력하기 때문이다.

지난 9월 「르 몽드」 지에 ‘위기에 처한 건축(Architecture endangered)’이란 기사가 실렸다. 당신이 디자인한 고대 아를 박물관이 원 건축가에게 어떤 의견도 구하지 않고 무단으로 보수확장 공사를 진행했다. 이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하고 있는가?

박물관 측은 건물을 증축하기 위해 삼각형의 한 모서리를 잘라냈다. 나는 건물을 해하지 않고 증축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남아메리카에서 프랑스로 내 변호사와 비행기를 타고 날아갔다. 나는 프랑스는 아직 건축가가 문화의 일부로서 인정되는 유일한 곳이라고 생각했지만 건물은 결국 파괴되고 말았다.

이는 프랑스에서도 흔한 일이 아니다. 프랑스 건축가협회가 이 사실을 알았을 때 그들 모두 나에게 힘을 실어 주었다. 하지만 우리는 이기지 못할 것이다. 이는 오늘날의 문제다. 이것은 정치가들이 과거보다 나아진 것과는 다른 문제다. 그 전에 그들은 건축가들이 그렇게 할 수 있다는 것을 몰랐다. 이제는 모두가 내 변호사에게 압력을 넣고 있다. 왜냐하면 우리가 이기면 거의 모든 문화적 프로젝트들이 보호받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국가적인 문제다. 나는 건축의 사회적 인식을 위해 싸우기로 결정했다. 현대 상황의 문제는 건축주들이 좋은 건축가, 나쁜 건축가의 차이를모른다는 것이다. 건축가들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시간과 돈만 따지는 건축주를 만난다면, 어떤 결과도 바랄 수 없다.

당신은 프랑스에서 30여 년간 교직생활을 하면서 많은 학생들을 길러냈다. 지금은 페루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는데, 그곳의 건축교육은 어떠한가?

나는 유럽에서는 하지 않을 건축교육을 남아메리카에서 하고 있다. 왜냐하면 유럽에서는 건축교육이 필요하지 않다. 유럽은 이미 체화되어 있다. 한편 페루의 교육 현실은 엉망이다. 40개의 건축학교가 있는데 가르칠 수 있는 사람은 40명도 되지 않는다. 나는 미래의 건축교육자들을 가르치고 있다. 이는 개인적으로 상당히 흥미롭다. 왜냐하면 건축의 본질을 다시 다루기 때문이다. 건축가들은 건축의 본질을 모르고 또 학교는 이에 대해 가르치고 있지 않다.

그렇다면, 건축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건축의 본질은 무엇인가?

본질은 건축이 무엇에 관한 것인가를 생각해봐야 한다. 유럽에서는 건축을 행하는 데 4가지 기본이 있다. 그 중 하나인 수평적 집합에 관해 얘기해보자. 이것은 건축가가 아닌 당신의 어머니 혹은 삼촌과 같은 평범한 사람들에서 건축가들까지 모두가 아는 건축의 기본이다. 많은 집들이 리차드 노이트라 건축으로부터 정립된 평면 구성의 기본을 따르는 복제품이다. 집에서 가장 중요한 장소는 거실과 테라스, 즉 유리창이 있는 거실과 외부 공간이다. 만약 당신이 집을 그렇게 짓지 않는 건축가를 찾는다면 사진을 찍어두어라. 노이트라의 방식은 서구 세계 건축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누구도 그것이 그로부터 시작되었다는 것을 알

지 못한다.

한편 모든 이들이 수평적 집합을 건축적 장치로 행하는데 이 장치로 인해 프로그램을 당신이 가진 땅 위에 모두 얹으면 1층 집이 된다. 만약 한 층에 모두 배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2층 집을 세워야 한다. 이는 땅이 건축가보다 더 영향력 있는 요인이라는 의미다.

건축을 하는 4가지에 대해 이야기하자면, 세상 전체가 이 시스템이든 4가지 중에 다른 하나든, 정당한 방법이다. 정당하지 않은 방법은 상자를 만들어서 그 안에 마구잡이로 넣는 것이다. 그러면 결국 상자 하나를 만든 결과일 뿐이다. 우리는 더 이상 누구도 건축을 하지 않는 세상에 살고있다.

한국에서 건축교육제도는 4년제에서 5년제로 바뀌었다. 당신은 건축교육 기간이 더 짧아져야 한다고 얘기한 적이 있다.

학교의 건축교육은 건축지식을 갖춘 누군가를 길러내는 게 아니라 문명화된 사람을 길러내기 위한 과정과 시간이다. 어떤 문화 속에 있든 1학년 시기에 이런 문화를 만나야 한다. 세계를 여행하고, 디자인의 기초를 연습하고, 역사를 공부해야 한다. 1년간 문화를 배운 학생은 2학년이 됐을 때 창조력을 갖춘 문명화된 학생이 된다. 2학년에게는 오직 시스템에 관한 작업을 가르쳐야 한다. 특수한 것에서 일반적인 것으로, 일반적인 것에서 특수한 것으로. 당신은 그들에게 이것이 건축을 생각하는 방식임을 알려줘야 한다. 3학년은 학교에 따라 다르다. 무엇이든 필요한 것을 가르

치면 된다. 그 뒤의 4~5학년은 신경 쓰지 않는다. 지금의 한국의 건축교육은 전문인이 가져야 할 기술적 기량에 초점

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정말로 바보 같은 짓이다. 이는 끔찍한 일이며 건축이 사라지고 있는 이유다. 예를 들어 OMA의 시애틀 도서관은 멋지다. 렘 쿨하스의 모형은 그의 생각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뚜르 드 몽드」 지에 실려 모두에게 소개됐다. 그런데 기술자는 거기에 그물 모양의 구조를 입혔다. 결국 그것은 흉물스러운 결과를 낳았다. 모든 스타 건축가들은 전부 세계적인 구조설계회사 에이럽(Arup)에 목매달고 있다. 만약 에이럽이 프로젝트 해결방향을 알 때는 일을 맡겨도 괜찮다. 그러나 그들이 답을 모를 때 그들은 당신의 건물에 ‘창녀의 망사 스타킹’을 입힐 것이다. 대각선을 사용하는 것만큼 끔찍한 것은 없다. 이는 거의 대부분의 스타 건축가에게 해당되는 일이다. 자하 하디드 건물의 단면을 보면 사선으로 가득 차 있다. 게리의 건물 단면은 튜브다. 그들은 건물의 70%를 사용할 수 없는, 심지어 쥐도 돌아다닐 수 없는 공간으로 만든다. 구조뿐이다. 내 생각에 구조설계자들의 역할은 축소되어야 한다.

또한 건축은 시공을 최소화해야 한다. 시공은 안전을 보장하고 건축이 설 수 있는 수준이면 된다. 건축가는 다른 일을 해야 한다. 요구를 만족시키는 것은 우리의 직능에서 가장 쉬운 부분이다. 문제는 무엇을 하고, 그것을 해결하는 방법이 중요하다. 우리는 누구도 신경 쓰지 않더라도 거기에 더 많은 시간을 써야 한다. 사람들은 그것이 끝난 뒤에 진가를 알아보고 기뻐할 것이다. 기술자들은 그들에게 주어진 것들을 과학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그러나 건축가는 예술과 과학의 균형을 잡아야 하는데 지금은 과학이 전부를 차지했다. 우리는 건축학교에서 건축적 사고와 의식을 가르칠 때, 기술의 노예로 만들어서는 안 된다. 우리는 건축인으로서 자부심을 가져야만 한다. 우리는 사람들의 삶을 담을 집을 지어야 하며, 더 좋은 환경을 만들고, 감성을 주는 재료를 선택하고, 사람들이 꿈꿀 수 있게 해줘야 하며, 더 나아지고 싶도록 만들어야 한다. 건축은 누군가가 돈을 벌게 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그리스 신전을 예로 보자. 신전은 완벽하기 때문에 가장 숭고한 방법의 표현이다. 포스트 모던 시대에 그리스 신전의 복제품을 만들기 위해서가 아니라 왜 미스 반 데어 로에가 그의 일생을 근대의 그리스 신전을 만들기 위해서 노력했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우리는 고대건축의 정신을 배워야 한다.

젊은 건축가들은 핸드드로잉보다는 컴퓨터를 주로 사용한다.

그것도 역시 교육과 관련이 있다. 눈과 뇌, 손 사이의 관계는 깨졌다. 이제 손은 관심 밖이다. 이는 문명화 사회 속의 또 다른 난독증이다. 젊은 건축가들은 기계를 쓰기 이전에 어떻게 그려야 할지 모른다. 하지만 기계는 어떤 걸 그려야 하는지 아는 사람을 필요로 한다. 프로젝트를 진행한다는 것은 당신의 연구 결과에 따르는 모든 이득을 맞추기 위해 가능한한 열린 요소들을 갖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건축가가 사각형의 단 두 면만을 그린다고 해보자면 그는 결과적으로 두 면이 사각형이 될 것임을 알지만 당장 그것에 가까워지는 것을 원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그 전에 이 두 면들이 어떻게 작동하게 될지를 알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신은 그런 작업을 기계로는 할 수 없다. 하지만 기계는 당신에게 사각형을 만들지 물어본다. 이는 기계를 통해서는 우리가 결코 건축의 열린 가능성을 볼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의 머리는 항상 쉬운 방법을 찾고 기계를 사용하는 인간의 지능은 도서관을 이용한다. 이것은 당신이 무엇을 입력할 것인지조차 모른다는 것이다. 당신이 스스로 어떤 차원의 침대를 그릴 때, 비로소 당신은 그것이 침대라는 것을 안다.

이번 한국 전시▼1에서 많은 핸드 드로잉 스케치를 선보였다. 이 작업들을 통해 건축가들에게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사람들에게 의미 있는 고층빌딩을 짓기 위해 어떻게 하는가? 지금 마천루를 통해 실현되는 단 하나의 측면은 더 이상 우리에게 꿈이 아닌 높이다. 우리는 비행기에서 초고층빌딩을 본다. 비행기는 마법을 파괴하고 초고층빌딩들은 더 이상 신비롭지 않다. 오직 아둔한 아랍인들만이 태양을 보기 위한, 단지 사막을 보기 위한 800m 높이의 건물들을 지을 수 있다. 나의 스케치들은 높이가 아닌 공간을 보여주고 있다.

당신 스케치를 보면 몇 가지 특정한 원색을 사용하고 있다. 당신의 스케치에서 색채는 어떤 의미를 담고 있나?

당신은 공간 안에 그림을 지을 수 있다. 당신은 틀에 끼워진 그림들을 보고 상상만 할 필요는 없다. 페르낭 레제는 채색된 도시들을 그렸고 우리는 그것들을 지을 수 있다. 오늘날 색채는 짓기의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고 당신은 원하는 재료를 쓸 수 있다. 당신은 더 이상 구멍으로서의 창문을 뚫을 필요가 없다. 당신은 자신만의 창문을 만들 수 있다. 모든 건물들은 정교하고 당신은 통일성을 주기 위해 색채를 사용한다. 이것은 건축에서 중요하다. 이것은 잃어버린 어떤 것이다. 건축의 목적은 통일성이다.

------------------------------------------------------------------------------------------------------------------------------

1. 지난 12월 15일부터 21일까지 서교동 자이갤러리에서 앙리 시리아니 전시회가 한국건축설계교수회의 주최로 열렸다. 이번 전시는 앙리 시리아니의 스케치로 구성됐으며, 그는 15일 ‘높은 곳에 살다 – 도시의 단편에서 수직의 주거로’를 주제로 특강을 진행했다.

1. Held from the 15 to 21 December, the exhibition Henri Ciriani was held at Xi Gallery in Seogyo-dong. The exhibition consisted of his sketches, and he delivered a lecture titled ‘Vivre Haut’ on the 15th. This event was organized by Korean Association of Architects and Design Faculties.

------------------------------------------------------------------------------------------------------------------------------

앙리 시리아니는 1936년 페루 리마 출생으로, 페루국립공과대학(1955), 페루건축대학(1956~1960), 페루국립도시계획학교(1961)를 졸업한 후 1964년 도불하여 프랑스 정부 장학생으로 정착하였다. 1965년부터 1975년까지 앙드레 고미, A.U.A., 코라주 & 위도브로를 거쳐 1976년 자신의 스튜디오를 열었다. 1977년부터 2001년까지 건축8대학(파리-벨빌 건축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최근 페루로 돌아가 페루의 건축교육자들을 길러내고 있으며, 주거 위주의 개인 작업을 활발히 하고 있다.

Born in Lima Peru (1936), Henri Ciriani studied architecture and worked in Peru before moving to Paris in 1964. From 1965 to 1975, he collaborated with André Gomis, Atelier d’ Urbanism et d’ Architecture (A.U.A.), Corajoud et Huidobro and opened his own studio in 1976. He taught students at the Ecoled’Architecture de Paris-Belleville (1977 – 2001). Now he has returned to Peru, where he is raising the architectural teachers of in the future and continuing his architectural practice, mainly in private housing.


Featured Posts
Recent Posts
Archive
Search By Tags
bottom of page